수업 소개
미래문화융합연구센터 수업
초연결시대의 도래와 함께 한국의 문화가 세계인의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OTT플랫폼과 SNS는 K-Pop과 영상 콘텐츠를 빠르게 확산하는 배경이 되었으며,
이제는 음식과 패션, 문학, 전통문화와 같은 한국의 문화 콘텐츠 전반으로 세계인의 관심이 확장하고 있습니다.
미래문화융합연구센터는 변화무쌍한 초연결시대의 흐름 속에서 한국의 문화콘텐츠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확산할 수 있는 정책을 분석·개발하는 문화예술정책의 전문가를 양성하고자 합니다.
-
-
문화 콘텐츠의 이해
문화 콘텐츠라는 용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문화적 요소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르를 이해하고, 산업의 생태계를 파악하며, 문화권 별로 나타나는 차이에 대해서까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 문화 콘텐츠의 정의와 역사, 종류와 현황, 산업의 생태계, 진흥 정책에 대한 소개, 원형과 변용, 플롯과 스토리 텔링, 플랫폼과 SNS 등 문화 콘텐츠를 둘러싼 다양한 요소들에 대해 개론적으로 접근하며, 현대 사회에서 문화 콘텐츠가 갖는 경제적, 정치적, 문화적 가치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는 방안을 함께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
문화예술과 사회적 담론
문화예술 콘텐츠에는 당대 사회의 역사적 사건을 포함하여 현재적인 쟁점이 맥락으로 작용한다.
이는 문화예술 콘텐츠의 내용을 포함하여 장르 형식, 생산 매체 및 향유의 방식 등에도 영향을 미친다. 본 수업은 영화, 드라마 등 다양한 문화예술 콘텐츠를 사회적·문화적 맥락 속에서 분석하여 문화예술과 사회적 담론의 연관관계를 파악하는 데에 주안점을 둔다.
-
-
초연결시대의 문화예술 연구
스마트 기기와 SNS의 등장은 문화예술 콘텐츠의 수용 방식에도 변혁을 일으켰다.
한국의 문화예술 콘텐츠의 전세계적인 확산과 빠른 반향은 초연결시대 문화예술 콘텐츠 수용 변혁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본 강좌는 초연결시대 문화예술이 수용되고, 재생산되는 과정과 방식, 그리고 그 의의를 연구하여 문화예술 콘텐츠의 확산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는 전문가적 관점을 함양한다.
-
-
K-컬쳐와 한류확산
K-컬처와 한류 확산을 주제로, 한국 문화가 글로벌 문화로 자리 잡아가는 과정을 탐구한다.
한류의 역사적 배경부터 음악, 드라마, 영화, 게임, 음식 등 다양한 콘텐츠를 확산 사례를 중심으로 탐구한다. 또한, 한류 확산의 성공 요인과 문화적, 경제적, 사회적 영향을 분석하며, 글로벌 문화 트렌드 속에서 한류의 미래 가능성을 모색한다. 이를 통해 K-컬처의 힘과 지속 가능한 성장 전략을 이해하는 능력을 함양한다.